반응형 인사•노무•평가보상•조직문화7 대기업 신입 초봉 및 연봉 정보 (Feat. 인센티브) [본문- 대기업 신입 초봉 및 연봉 정보] 대기업에서의 신입 초봉은 일반적으로 산업, 지역 및 회사의 규모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대기업에서는 일반적으로 업계 표준에 따라 초봉이 결정됩니다. 신입으로 입사하는 경우에는 학력, 전공, 경력 및 기술 수준에 따라 다양한 요인이 고려됩니다. 대부분의 대기업에서는 국내 및 국제적인 인력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경쟁력 있는 초봉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대부분의 경우 대기업의 신입 초봉은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대기업의 대졸 초봉은 24년 기준 5천만 원 (±500만 원) 정도입니다. 회사마다 차이가 있으나, 연봉에 상여금이 포함되는 경우도 많으며 이 경우에는 실수령액은 기본급 5천만 원인 사람과는 현저히 떨어지게 됩니다. 좀 더 자세히 설명드리자.. 2024. 4. 23. 스타트업 인사담당자의 지원자 검토 기준 (Feat. 이력서) [본문-스타트업 인사담당자의 지원자 검토 기준] 요즘 세대 사람들은 무조건 안전한 대기업, 공기업을 간다기보다, high risk, high return 인 스타트업을 선택하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스타트업은 어떠한 기준을 가지고 채용을 할까요? 물론 회사마다 다르겠지만, 제가 경험한 바를 위주로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스타트업에서는 기존 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보다는 다소 다른 이력서 검토 기준이 있을 수 있습니다. 저의 경우엔 주로 다음과 같은 요소를 중점적으로 고려합니다.창의성과 적극성: 스타트업은 변화가 빠르고 도전적인 환경이기 때문에, 지원자가 창의적인 문제 해결능력을 가지고 있고, 적극적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나 방법을 제안할 수 있는지를 확인합니다.적응력과 유연성: 스타트업에서는 업무.. 2024. 4. 22. 프로이직러가 4월에 퇴사하는 이유 (Feat. 똑똑한 퇴사 꿀팁 방출) [본문 - 근로자에게 유리한 퇴사 시기와 이유] 많은 직장인들은 항상 퇴사와 이직을 염두에 두고 있습니다. 조직 문화가 맞지 않아서, 워라밸이 좋지 않아서, 급여가 너무 적어서, 사람과의 관계가 힘들어서 등 퇴사할 이유를 나열하자면 끝이 없습니다. 그렇다면 이왕 결정한 퇴사, 언제 어떻게 하는 게 좋을까요? 퇴사를 결정한 순간부터는 하루빨리 자유의 몸이 되고 싶지만, 스무스한 퇴사를 위해서는 차근차근 준비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근로계약서에는 퇴직 1개월 전에 사직서를 제출하고 승인받아야 하며, 인수인계를 진행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한 달 안에 대체자가 채용되어 인수인계를 받기란 어려운 일이죠. 또한 근로계약서에 사전 통보가 명시되어 있더라도 근로기준법에서 근로자를 보호해 주기.. 2024. 4. 18. 임산부 단축근로의 모든 것 (feat. 태아검진휴가) [본문- 임산부 단축근로] 요즘같이 아이가 귀한 때에 임산부를 위한 혜택들이 많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중 하나인 임산부 단축근로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임산부 단축근로란 임신 후 12주 이내(임신 후 84일까지/7일*12주), 그리고 36주 이후(임신 후 246일 이후/7일*35주+1일)에 근로자가 하루 2시간씩 단축 근무를 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이 기간 동안은 출근 또는 퇴근 시간을 조정하거나, 출퇴근을 각각 1시간씩 나누어 조기퇴근을 하는 등 탄력적인 조정이 가능합니다. 단, 1일 근로시간이 8시간 미만인 경우에는 1일 근로시간이 6시간이 되도록 근로시간 단축을 허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눈여겨보아야 할 점은 12주 이내나 36주 이후를 선택하는 게 아닌, 두 기간 모두 사용할 수 있다는 .. 2024. 4. 8.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