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스타트업20

주식매수선택권(스톡옵션) 부여 절차 [이전글] 주식매수선택권 (스톡옵션) 개념 [본문 - 주식매수선택권 (스톡옵션) 의 개념] 자본금이 많이 없는 스타트업에서 좋은 인재를 영입하기 위해, 또는 리텐션을 위해 내세우는 보상 중 하나인 주식매수선택권(이하 스톡옵션)에 대해 20190122.tistory.com [본문-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절차] 많은 스타트업들이 주식매수선택권 (이하 스톡옵션)을 부여하며 적합한 부여 절차를 따르지 않아 스톡옵션을 부여했음 해도 불구하고 행사하지 못하는, 혹은 부여 자체가 인정되지 않는 경우들이 종종 있습니다. 부여 절차에 대해서 잘 모를 경우 스톡옵션 계약서를 작성했으니 된 거 아니냐고 생각할 수 있지만 스톡옵션 부여까지 사전에 이루어져야 할 절차들이 꽤 있습니다. 어떤 절차로 스톡옵션을 부여해야 하는지 아래.. 2024. 2. 13.
주식매수선택권 (스톡옵션) 개념 [본문 - 주식매수선택권 (스톡옵션) 의 개념] 자본금이 많이 없는 스타트업에서 좋은 인재를 영입하기 위해, 또는 리텐션을 위해 내세우는 보상 중 하나인 주식매수선택권(이하 스톡옵션)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EXIT 하여 수억에서 몇백억까지 수익을 얻은 사람도 있는가 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스톡옵션은 종이쪼가리로 치부하기도 합니다. 정확히 스톡옵션이란 어떤 걸까요? 스톡옵션은 현재 가치로 주식을 살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는 것입니다. 단, 일정 기간 이상 재직하여야 행사할 수 있으며 (대한민국 기준 부여 결의일로부터 최소 2년간 재직, 미국의 경우 보통 1년) 추가로 몇 가지 조건들이 있습니다. 아래에서 스톡옵션 관련 용어와 조건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1. 베스팅 (Vesting) 베스팅이란.. 2024. 2. 8.
정기주주총회 주요 안건 [이전글] 정기주주총회 절차와 일정 [본문 - 정기주주총회의 절차] 매 년 열리는 정기주주총회는 대기업뿐만 아니라 주주가 있는 모든 주식회사가 꼭 해야 하는 연례행사입니다. 매해 사업연도를 마무리하며 기간 내에 영업실적을 20190122.tistory.com [본문 -정기주주총회 주요 안건] 지난 글에서는 정기주주총회 절차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드렸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정기주주총회의 중 안건들은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려고 합니다. 정기주주총회의 주요 안건으로는 ①영업보고 ②재무제표 승인 ③임원 보수한도 결정 ④임원 중임 및 선임 결정 ⑤정관 변경 ⑥주식매수선택권 부여(스톡옵션) 등이 있습니다. 만약 회사에 이사가 2인 이하라면 재무제표 및 영업보고서에 대한 이사회 승인 의무는 없어집니다. 또한 감.. 2024. 2. 7.
정기주주총회 절차와 일정 [본문 - 정기주주총회의 절차] 매 년 열리는 정기주주총회는 대기업뿐만 아니라 주주가 있는 모든 주식회사가 꼭 해야 하는 연례행사입니다. 매해 사업연도를 마무리하며 기간 내에 영업실적을 재무제표로 정리하고, 이 재무제표를 최종적으로 정기주주총회에서 승인받아야 하기 때문에 설립한 지 얼마 되지 않은 회사라도 추후 미래를 대비해 법적인 절차에 따라 잘 갖춰 운영하는 것은 아주 중요합니다. 정기 주주총회는 매년 1회 일정한 시기에 개최하는 것으로 상법에서 정하고 있지만, 주주명부 폐쇄기간과 법인세 신고 등 실무상 이유가 고려되어, 대부분의 회사들은 정관 규정으로 "결산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정기주주총회를 개최하는 것으로 정하고 있습니다. 상법에서 주식회사는 재무제표를 매년 정기주주총회를 총해 주주의 승인을 .. 2024. 2.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