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초기의 모든 예비아빠, 예비엄마에게 반드시 도움이 되는 정보를 핵심만 정리하여 공유합니다.]

▒ 산후조리원 예약시기
임신 사실을 알았다면 즉시 조리원을 알아보고 예약을 진행하세요.
→ 생각보다 좋은 산후조리원은 예약자리가 없습니다. 임신 7~8주 차에 알아보시면 자리가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 대부분의 조리원은 예약일 기준 한 달 전까지 전액 환불을 보장하기 때문에 나중일은 걱정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 산후조리원 기간
특별한 문제가 있지 않다면 일반적으로는 2주를 선호
→ 산후조리원은 필수가 아닌 선택의 영역입니다. 반드시 산후조리원을 가실 필요는 없습니다.
→ 조리원에 머무르는 기간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는 없으나, 대부분의 후기를 확인하면 1주는 아쉽고 3주는 길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따라서 많은 사람들이 선택하는 2주 정도를 추천드립니다.
▒ 산후조리원 가격
서울지역의 경우 2주 기준 지역에 따라 아래와 같이 분포하고 있습니다. 모두가 생각하는 비싼 동네일수록 가격이 비쌉니다.
→ 낮은 가격대(2주 기준): 150 ~ 350만 원(옵션 별도)
→ 중간 가격대(2주 기준): 400 ~ 600만 원(옵션 별도)
→ 높은 가격대(2주 기준): 1000만 원 ↑
▒ 산후조리원 선택 기준 - 위치
병원 또는 집과 가깝거나 교통이 잘되어있는 조리원이 1순위입니다.
산후조리원에서 2주 동안 쭉 머무실 경우 병원에서 이동하기에 무리가 없는 선에서 위치를 선정하시면 됩니다.
→ 수유 텀을 생각해서 가능한 1시간 이내 이동가능한 곳으로 선정하세요.
▒ 산후조리원 선택 기준 - 시설
산후조리원 시설 크기대비 수용인원 검토(적을수록 당연히 좋습니다.)
→ 일반적으로 방의 크기로 판단할 수 있는데, 방의 크기가 5평이면 많은 편, 10평 근처면 적은 편입니다.
→ 인원이 적을수록 산후조리원 인원들이 아기와 산모에게 더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당연히 그만큼 가격은 오를 수 있습니다.
신생아실의 위생 및 환경 검토
→ 오픈이 되어있으며, 산모가 언제든지 아이를 잘 확인할 수 있는 환경인지 확인
→ 신생아실 내부에 구역(분유실, 목욕실, 배변처리실)들이 확실히 분리되어 있는지 확인
→ 제대로 된 전문인력이 상주하는지 확인
신생아실과 산모가 머무르는 방의 거리(또는 위치) 고려
→ 민감한 사람들의 경우 아기들이 엘리베이터를 타는 것도 걱정하시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 따라서, 선택이 가능하다면 이동 동선이 짧은 곳을 선택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구비되어 있는 제품들 체크
→ 마사지기, 골반교정기, 좌욕기, 유축기, 분유 등 구비되어 있는 제품들을 확인합니다.
→ 어떤 제품이 좋은지는 추 후 다시 한번 정리해서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음식(조리 시설 또는 업체) 확인
→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입니다.
→ 직접 조리 시설을 운영한다고 해서 꼭 좋은 것만은 아닙니다. 이 부분은 원하시는 산후조리원의 후기를 꼼꼼히 확인하셔서 사전에 체크하는 것이 좋습니다.
▒ 산후조리원 선택 기준 - 서비스(프로그램)
산모들 간의 의사소통이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또는 환경을 제공하는지 확인
→ 산후조리원에서 만난 사람들의 경우 앞으로 육아에 큰 힘이 될 수 있습니다.
→ 따라서, 커뮤니티가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 또는 고민을 많이 한 산후조리원이 좋습니다.
산모를 위한 회진 그리고 소아과 전문의 회진 여부 및 횟수 확인
→ 아기의 경우 태어나는 순간 소아과 전문의의 도움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산전, 산후 마사지 후기가 좋은 곳으로 선정
→ 마사지도 옵션 중 하나이지만, 제대로 된 마사지는 분명 산모에게 플러스가 되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교육 프로그램의 종류 확인
→ 대부분의 산후조리원은 초보 엄마, 아빠들을 위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